
(뉴스통신=배영수 기자) 허식 인천시의회 의장이 5.18 관련 내용의 기사를 시의회 단체 채팅방에 공유하도록 지시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허 의장은 15일 오전 시의회 직원에게 특정 언론사가 보도한 “한동훈 ‘北개입 변란’ 5·18 너무 몰라…국힘 분열만 불렀다”는 제목의 기사를 시의회 단체 카카오톡방(단톡방)에 공유토록 했다.
해당 직원은 “의장님 요청으로 공유합니다”라는 코멘트를 남기고 해당 신문의 1면 대장과 기사 주소를 단톡방에 함께 올렸다. 해당 기사는 허 의장이 배포해 물의를 빚은 유인물을 제작한 언론사의 온라인 기사다.
5.18을 ‘광주 무장폭동’이라 표현하며 “100%, 200%, 500% 북한이 개입한 국가 전복 변란”이라는 주장과 함께 “한동훈이 이걸 몰라도 너무 모른다”는 주장이 담겼다. 단톡방에는 허 의장을 비롯한 인천시의원 40명과 사무처 직원 등 65명이 있다.
인천평화복지연대 등 시민사회진영에서는 허 의장의 행위를 ‘5.18 특별법’ 제8조가 금지하는 ‘유포행위’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허 의장과 해당 언론사을 대상으로 고소·고발 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사법당국의 조사 결과가 주목된다.
김대영 시의원(비례, 민)은 “허 의장이 현 사태에 대한 심각성을 아직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시의회가 불필요한 이념 논쟁과 논란에 휩싸이는 일이 더 이상 없어야 한다”고 일침을 놓기도 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와 인천여성회 등 시민사회진영과 노동계 역시 “계속 불협화음을 이어가며 급기야 5.18 정신과 헌법 정신까지 부정한 허 의장의 행위는 절대 좌시할 수 없다"며 "의장직과 의원직을 스스로 사퇴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앞서 허 의장은 유인물 배포 논란이 일자 7일 탈당계를 제출하며 ‘선당후사’라고 밝혔다. 국민의힘 당규에 따르면 탈당계는 ‘제출 즉시 효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돼 있어 이날 윤리위는 가동되지 않았다.
이후 허 의장은 동료 의원 및 복수의 언론 등을 통해 “나는 잘못한 것이 없으니 사퇴 안 한다”는 등의 입장을 우회적으로 밝혀 온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