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통신=유숙녀 기자) 인천시가 ‘2017년 물가 안정 관리 대책’을 발표하고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
시는 이번 대책에서 10종의 지방공공요금관리와 주요 생필품 및 개인서비스요금 등에 대한 가격정보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착한가격업소, 소비자단체와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을 통한 개인서비스요금의 안정 관리도 나선다.
먼저 공공요금은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기조에 따라 서민 경제의 안정화를 위하여 동결기조를 유지하고 인상폭 최소화 및 인상시기 조정 등으로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한다는 계획이다.
시가 관리하는 상, 하수도, 시내버스, 지하철, 택시, 도시가스(소매), 공연예술 관람료 등의 공공요금은 경영혁신, 원가분석 등 자구 노력을 통해 인상 요인을 자체 흡수하도록 유도하고 물가대책심의위원회 심의 조정 기능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공공요금 관리 책임의 명확화를 위해 국장급을 품목별 관리 책임관으로 지정, 운영해 공공요금의 선제적 관리 및 실시간 보고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또 개인 서비스 요금은 저렴한 가격으로 지역물가 안정에 기여하고 있는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홍보 및 관리를 강화하고 가격 표시제 이행과 불공정 거래 행위를 단속하고 소비자단체와 합동으로의 캠페인 및 교육을 실시해 물가안정화 분위기를 확산한다.
아울러 물가 불안 심리 조기 차단 및 물가 안정적 관리를 위해 가격표시제 위반, 표시요금 초과 징수, 사재기 등 불공정 행위를 단속하기 위해 상시로 물가대책 종합상황실을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
정중석 일자리경제국장은 “물가안정과 합리적인 소비생활 위해 올해 3월말부터 새롭게 시민들에게 물가(82종)등 생활경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인천시 클라우드 GIS 포털 모바일 서비스를 개통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 국장은 “지역 언론 및 방송을 통해서도 물가정보를 제공하는 등 가격정보 제공기능을 강화해 시정 신뢰도를 제고해 나가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