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통신=배영수 기자) 인천시가 올해만 ‘1백억 원 규모’의 적잖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해양쓰레기 수거작업에 대한 고민이 큰 모습이다.
중국 등이 유발하는 대외적 해양환경오염에 최일선에서 대비해야 하는 상황의 인천시로서는 국비지원은 물론 일종의 ‘시스템’도 갖춰야 하는데 처한 환경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13일 인천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가 진행한 인천시 해양항공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김용희 의원(연수2, 국)을 비롯한 건교위 소속 시의원들은 “해양쓰레기 수거 등에 대해 의회에서 도울 부분을 최대한 돕겠다”고 약속했다.
인천시의 해양쓰레기에 대한 고민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해류의 영향으로 중국에서 발생시키는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대부분이 인천앞바다로 유입되고 여기에 한강하류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들로도 몸살을 앓고 있는 게 인천이 처한 현실이기 때문.
그래서 시는 올해만도 9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올해 인천앞바다에서 4천 톤이 넘는 쓰레기를 수거했다. 또 쓰레기를 치우는 작업에는 일선 공무원과 시가 섭외한 관련 전문업체는 물론 인천녹색연합 등 환경단체들과 시민활동가, 주민들까지 ‘애향심’의 차원에서 힘을 보태고 있다.
그러나 해양 부유쓰레기(떠다니는 것들)를 정화하는 데에만 80억 원 가까운 예산이 들고 있는 상황에서 시가 제아무리 예산을 더 집중한다 해도 한계점은 명확해서 해당 작업의 소관부서인 해양항공국 역시 고민이 깊다.
최근 시는 이 해양쓰레기 발생 원인 조사를 통해 중국에서 흘러오는 해양쓰레기가 상당한 것으로 확인된 만큼 이를 근거로 정부에 25억 원 규모의 국비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김을수 시 해양항공국장이 국회에 다녀온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날 행감에서 그가 국회를 다녀온 것도 바로 이 문제 때문인 것으로 확인돼 시 차원의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님을 우회적으로 보여주기도 했다.
인천환경운동연합, 인천녹색연합 등 인천지역 환경단체들은 일찍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심각성을 호소해 왔다. 해양쓰레기가 어족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져 어민들의 어획량을 결국 감소시키고 유통되는 어류에 해양쓰레기에서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돼 결국 사람이 섭취하는 등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는 논리다.
이 환경단체들의 논리는 사실 틀린 게 하나도 없다. 대부분의 해양쓰레기 플라스틱 성분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은 자연에 노출되면 소위 ‘삭는다’고 표현되는 풍화작용이 일어나는 성분들로 이후 미세플라스틱으로 발생되는 수순을 밟게 된다는 건 ‘상식’의 수준이기 때문.
실제 수년 전 ‘국제환경보전단체’에 해당되는 세계자연기금(WWF) 소속인 호주 뉴캐슬 대학 연구팀에서 연구한 결과에도 인간은 1인 당 매주 신용카드 1장 분량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는데 섭취하는 해양생물 역시 영향을 주고 있음은 물론이다.
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강화도 염화강에 있는 더러미포구에서 4회에 걸쳐 해양쓰레기를 조사한 결과 모든 해역에서 플라스틱류가 99.8% 이상을 차지했다는 점도 그 심각성을 입증하고 있다.
이날 행감에서 김 국장은 최근 이 문제로 국회에 다녀온 상황을 언급하면서 “현재 해양쓰레기는 부유쓰레기도 문제지만 가라앉아있는 침적쓰레기를 수거해 제거하는 일도 시급하다는 게 우리 시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김 국장이 행감서 밝힌 바로는 경기도에서 운용 중인 해양환경정화선은 이러한 침적쓰레기까지 어느정도 처리가 가능하지만, 인천시에서 띄우고 있는 ‘인천씨클린호’는 현재 그러한 기능이 없는 상태다.
김 국장은 “이 문제 때문에 국회도 오가고 현장도 지켜보면서 든 생각은 가장 시급한 것이 국회를 통한 국비지원의 현실화도 있었고, 물론 재정적 문제도 있지만 하루빨리 우리 시가 대응 시스템을 제대로 갖춰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의원들께서 많이 도와주셔야 한다”고 호소했다.
질의를 한 김용희 의원 등 건교위 소속 시의원들은 의회가 손이 닿는 한 최대한 돕겠다는 입장이지만 사실 시의원들이 도와주는 범위는 ‘인천시 예산’의 수준에 그치는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은 시로서는 ‘목이 타는’ 상황일 수밖에 없다.
때문에 지역 언론들도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과 시의 노력이 병행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최근 ‘인천일보’는 “해양쓰레기를 직접 치우는 데엔 한계가 있겠지만 이를 수거하는 사업은 더욱 강화하고 정부는 국비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역시 지역언론인 ‘경기신문’의 경우 최근 사설에서 해양쓰레기를 처리할 전용 소각장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이를 위해서 시의 진취적인 노력과 주민들의 협조, 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