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까치울정수장 조감도 (사진=뉴스통신)
▲깨끗한 수돗물 공급·상하수도공기업 재정건전성 확보 위한 상하수도 요금 인상
부천시는 고도정수 처리시설 설치 및 노후 급수관 교체와 같은 생산비용 상승으로 상하수도 요금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판단, 2023년부터 연차별 요금 인상을 추진, 1월과 7월 각각 8.76%, 19% 인상한 바 있다.
2025년 요금을 상수도는 8.59%, 하수도는 올해와 동일한 19% 비율로 인상할 예정이다. 상수도는 일반용과 대중탕용의 현행 2단계 요금을 단일화해 누진 구간을 없애고 각각 1,200원과 910원으로 적용한다. 산업용은 500톤까지 850원, 500톤 이상 1,090원이었던 요금을 950원과 1,120원으로 조정한다.
하수도는 일반용은 현행 4단계 요금 구간을 2단계로 조정하고 대중탕용은 누진제를 폐지해 단일요금제로 변경한다. 요금 인상을 통해 내년 상하수도 현실화율을 각각 90.1%, 79.5%까지 높이고 1,243억의 수입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마련한 재원은 까치울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 등에 사용한다.
특히 까치울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 시설이 들어서면 여름철 장마 등 수질 악화 시에도 맛과 냄새, 미세 오염 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시민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하수도 현실화율 상승으로 상하수도공기업의 재정건전성 확보가 기대된다.

최은희 상하수도자원사업단장이 상하수도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뉴스통신)
▲다자녀 가구 상하수도 요금감면 3자녀 이상 → 2자녀 이상 3만 2천 세대 수혜
2025년 1월부터 다자녀 요금감면 대상을 3자녀 이상에서 2자녀 이상으로 확대한다. 경제적 부담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부천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과 지속 발전을 위한 조례상 다자녀 가정 기준을 적용했다.
대상은 2자녀 중 최연소 자녀 나이가 18세 이하인 가구이며 고지 금액의 5%에 대한 수도 요금을 감면한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복지감면 대상자는 중복해 감면되지 않는다. 신청은 11월 18일부터로 주소지에 따라 순차적으로 가능하다. 감면은 신청서 접수일 다음 고지분부터 적용되며 소급은 되지 않는다.
부천시 상하수도 요금납부 홈페이지에서 납부 편의 메뉴에 접속하거나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 신분증 지참 방문, 신청할 수 있다. 약 3만 2천 가구가 4억 500만 원의 신규 감면 혜택이 예상된다. 종이 없는 고지서 또는 카카오 알림톡 등의 전자고지를 희망하는 경우 홈페이지에 접속, 신청 가능하다.
동파를 대비하고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과 신속한 복구를 위해 동파 방지 대책을 마련, 내년 3월까지 대비 기간을 정해 한파로 동파된 수도계량기 교체 비용을 전액 시비로 지원한다. 이를 위해 8천 800여만 원의 예산을 편성했고 15mm 계량기라면 1가구당 계량기 대금 4만 8천 원을 줄일 수 있다.

녹슨 상수도관 교체 지원 홍보 이미지 (사진=부천시)
▲노후 수도관 교체 지원사업 확대 통해 개인 배관 포함하고 지원비용 비율 상향
2025년 1월부터 장기수선충당금을 적립하는 공동주택의 노후 수도관 교체 대상을 기존 공용배관에서 공용 및 개인 배관까지 확대하는 한편 공사비 지원 비율도 10%p 상향해 55~65%까지 높여 부담을 줄인다.
이를 통해 공용배관을 가진 4만 3천 세대와 개인 배관을 사용하는 7만 6천 세대, 11만 9천 세대가 혜택을 누리게 될 전망이다. 단독·소규모 주택과 장기수선충당금을 적립하는 공동주택 중 아연도 강관으로 만든 녹슨 수도관 사용으로 녹물이 나오는 경우 관을 새것으로 교체 해주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세대별 전용면적에 따라 공사비를 차등 지원한다. 이를 통해 단독·소규모 공동주택은 30~90%까지, 장기수선충당금 적립 공동주택은 45~55%까지 공사비를 지원, 왔다. 단독·소규모 공동주택의 경우 2010년부터 2023년까지 9,644세대에 47억 4천만 원을 지원했고 주민 만족도 결과 92%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2015년부터 2023년까지 44개 단지, 33,657세대에 118억을 지원했다. 또 동파로 발생하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동절기 상수도관리 종합대책을 수립, 복구 체계를 구축하고 동절기 수도계량기 긴급공사 대행업체를 선정하는 등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 경쟁력 있는 상하수도 시스템 구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