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부경찰서 여성청소년계 최종권
경찰은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른바 ‘젠더폭력’ 근절에 발 벗고 나섰다.
다소 생소한 용어이지만 국민여러분과 함께 공유하면서 경찰의‘젠더폭력’ 근절 의지를 다지고자 한다. ‘젠더(gender)’란 사회적 의미의 性을 의미하며 대등한 남녀 관계를 내포하는 개념이다.
또 생물학적 性(sex)과는 구별되는 것이며 ‘젠더폭력’이란 性差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적⋅성적⋅정서적 폭력을 통칭하며 성폭력⋅가정폭력 등 전통적인 여성폭력 범주 외에도 스토킹⋅데이트폭력⋅사이버성폭력 등 신종 여성폭력까지 모두 포괄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 보호 정책공약을 통해 ‘성 평등 대한민국’을 표명하며 ‘젠더폭력’ 근절에 큰 비중을 두고 여성치안을 확보 중이다. 또 ‘젠더폭력방지기본법’ 제정 등을 통한 체계적 대응 기반 구축을 추진하며 젠더폭력 근절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고 있다.
경찰도 ‘젠더폭력’의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 방향을 공유해 젠더폭력 근절을 통한 성 평등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 가기 위해 ‘사회적 약자 보호’라는 명제 아래 ‘젠더폭력 근절 100일 추진계획’을 설정해 국민여러분과 함께 강력하게 추진하고자 한다.
그간 성폭력⋅가정폭력 근절에 집중하며 범정부적으로 대응해왔으나 여전히 여성의 안전이 만족하게 확보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 속에 스토킹⋅데이트폭력⋅사이버성폭력 등 다양한 형태의 여성 대상 사건들도 국민적인 관심 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경찰은 법·제도 정비와 더불어 엄정한 대응 및 인식 전환, 피해자 보호를 위한 치안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산재된 여성치안정책을‘젠더폭력 근절’로 종합하고 젠더폭력을 포함한‘사회적 약자 보호’정책을 마련해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인 시책으로 성폭력․가정폭력 근절 등 기존 여성 치안정책 내실화, 스토킹‧데이트폭력 신종 여성범죄 대응 강화, CPO 중심 취약환경 개선 등 여성안심환경 조성 등 크게 3가지를 마련, 여성이 안전하고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고자 노력 중이다.
이런 ‘젠더폭력’ 근절은 경찰의 역량 못지않게 국민들의 협조도 반드시 필요하다. 주변에서 젠더폭력에 노출된 ‘피해자 발견 시 신고와 보호’, ‘범인 발견 시 제보’, ‘범죄예방환경’ 조성 등 국민들의 관심과 도움이 경찰의 ‘젠더폭력’ 근절에 큰 힘이 될 것이다. (경남 창원 서부경찰서 여성청소년계 최종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