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통신=김상섭 기자) 서울시가 무제한이용이 가능한 ‘통합환승 정기권’ 내년 하반기 시행을 예고하자 인천시가 유감을 표명하고 나섰다.
11일 인천시(시장 유정복)는 서울시의 일방적인 ‘통합환승 정기권’ 출시계획에 대해 유감의 입장을 내고 일방적 통합환승 정기권 시행 발표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이날 월 6만5000원으로, 서울 시내·지하철 시내버스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환승 정기권’을 내년 1~5월 시범운영후, 하반기에 본격 시행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서울시의‘통합환승 정기권’운영 취지에는 공감하나, 일방적 통합환승 정기권 시행 발표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공동생활권으로 묶이는 수도권교통문제는 인천·서울·경기가 함께 풀어야 할 숙제일 뿐만 아니라 가계부담과 기후위기대응 측면에서도 공동대응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인천시 분석이다.
서울시가 제안한 ‘기후동행카드’는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는 이용이 불가하며, 서울 이외 지역에서의 지하철 탑승도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천시는 인천·서울·경기 3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도입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준성 인천시 교통국장은 “국비·지방비를 공동으로 투입해 범정부적으로 추진하는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인 K-패스 사업이 내년도에 전국적으로 시행을 앞둔 상황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를 감안할때 통합환승 정기권추진여부는 수도권 3자협의체를 통해 K-패스 제도와의 중복문제 해소, 추가 소요예산 등을 논의해 공동으로 협의함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가 추진하는 K-패스 사업은 지하철과 버스를 한달에 21번이상 이용한 사람들에게 교통비의 20~53%에 해당하는 금액을 환급하는 대중교통 활성화 지원 정책이다.
이는 현재 운영중인 알뜰교통카드보다 교통비 환급 혜택을 확대해 내년 7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